어제 깃헙을 구경하는데 github > explorer > collections 에 아래와 같이 made in india 페이지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https://github.com/collections/made-in-india

 

왜 made in korea 는 없을까 생각하고 github/explore 프로젝트를 살펴보니, collections 에 made in korea 를 추가할 수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바로 행정안전부 사이트에서 태극기 이미지를 받고, 마크다운 문서를 하나 작성해서 github/explore 프로젝트에 풀리퀘스트를 하였고, 몇시간 후 머지가 되어서 아래와 같이 made in korea 페이지가 만들어졌다.

 

정말 간단한 작업이었지만 개발자라면 모를 수 없고, MS 에서 8조원에 인수한 github 프로젝트에 작게나마 기여했다는 게 뿌듯해서 기록한다.

https://github.com/collections/made-in-korea

Photo by Annie Spratt on Unsplash

 react와 클라우드를 사용한 세번째 프로젝트였고, 좀 더 제대로 만들고 싶었으나 인원 리소스의 제한으로 가장 빨리 만들 수 있는 방법을 택했고, 지난 프로젝트에서 적용하였던 typescript 를 활용하였다.

 redux에 typescript 를 적용하면서 redux github에 pull request를 했다가 redux maintainer에게 답변도 받고, 내가 만든 기능을 오픈소스로 공개도하는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었던 프로젝트였다.

 또, back office 기능을 react-admin 을 통해 깔끔하게 만들 수 있었다.

 한가지 아쉬웠던 부분은 비즈니스와 디자인 부분에서 속도가 조금 느렸다는 것이다. 개발은 나와 인턴개발자 한분 둘이서 재밌게 필수적인 것들을 만들어 갔는데, 비즈니스와 디자인부분에서는 완성도를 기다리며 실행을 하지 못했던 것이다.

 부서간 사람간 속도가 참 중요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던 프로젝트였다.

Photo by Aaron Sebastian on Unsplash

약 한달간 꾼미디어 홈페이지를 개발하였다. GCP 기반으로 source repository 로 소스코드를 관리하고, cloud build trigger 로 CI/CD를 구성했다. 프론트엔드는 gcp app engine에 배포해두고 백엔드는 gcp cloud functions 기반 microservices 구조로 nodejs를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프론트엔드 개발할 때는 react nextjs 기반 typescript 언어로 aos, axios, react-icons, react-player, react-slick, react-toastify, slick-carousel 등의 라이브러리들을 활용하여 개발했다.

 

백엔드에서 활용한 메일발송기능은 github 을 통해 오픈소스로 배포해두었다. 링크는 아래와 같다.

https://github.com/ywroh/google-cloudfunctions-sendmail

'Referenc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explore/collections/made-in-korea  (1) 2021.10.27
HB플랫폼 패션뷰티플랫폼 8LIT 개발  (0) 2021.04.01
픽업투유 홈페이지 개발  (0) 2020.11.19
라벨트레이딩 홈페이지 개발  (0) 2020.11.19
미플릭  (0) 2020.09.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