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by Annie Spratt on Unsplash

 react와 클라우드를 사용한 세번째 프로젝트였고, 좀 더 제대로 만들고 싶었으나 인원 리소스의 제한으로 가장 빨리 만들 수 있는 방법을 택했고, 지난 프로젝트에서 적용하였던 typescript 를 활용하였다.

 redux에 typescript 를 적용하면서 redux github에 pull request를 했다가 redux maintainer에게 답변도 받고, 내가 만든 기능을 오픈소스로 공개도하는 좋은 경험을 할 수 있었던 프로젝트였다.

 또, back office 기능을 react-admin 을 통해 깔끔하게 만들 수 있었다.

 한가지 아쉬웠던 부분은 비즈니스와 디자인 부분에서 속도가 조금 느렸다는 것이다. 개발은 나와 인턴개발자 한분 둘이서 재밌게 필수적인 것들을 만들어 갔는데, 비즈니스와 디자인부분에서는 완성도를 기다리며 실행을 하지 못했던 것이다.

 부서간 사람간 속도가 참 중요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던 프로젝트였다.

Photo by Aaron Sebastian on Unsplash

약 한달간 꾼미디어 홈페이지를 개발하였다. GCP 기반으로 source repository 로 소스코드를 관리하고, cloud build trigger 로 CI/CD를 구성했다. 프론트엔드는 gcp app engine에 배포해두고 백엔드는 gcp cloud functions 기반 microservices 구조로 nodejs를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프론트엔드 개발할 때는 react nextjs 기반 typescript 언어로 aos, axios, react-icons, react-player, react-slick, react-toastify, slick-carousel 등의 라이브러리들을 활용하여 개발했다.

 

백엔드에서 활용한 메일발송기능은 github 을 통해 오픈소스로 배포해두었다. 링크는 아래와 같다.

https://github.com/ywroh/google-cloudfunctions-sendmail

'Referenc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explore/collections/made-in-korea  (1) 2021.10.27
HB플랫폼 패션뷰티플랫폼 8LIT 개발  (0) 2021.04.01
픽업투유 홈페이지 개발  (0) 2020.11.19
라벨트레이딩 홈페이지 개발  (0) 2020.11.19
미플릭  (0) 2020.09.30

Photo by Vidar Nordli-Mathisen on Unsplash

픽업투유 홈페이지를 워드프레스로 개발하였다.

라벨트레이딩과 마찬가지로 고객분께서 빠른시일 내에 결과물을 받을 수 있고, 직접 관리하기에도 용이하기 때문에 동의를 구하고 워드프레스를 선택하였다.

Photo by Wonderlane on Unsplash

라벨트레이딩 홈페이지를 워드프레스로 작업하였다.

개인적으로 리액트로 바닥부터 만들어가는 걸 좋아하지만, 빠른 시간내에 결과물을 받고 직접 유지관리 하길 원하는 고객분들께는 워드프레스도 좋은 선택이라 생각한다.

Photo by freestocks on Unsplash

2020년 6월 1일부터 시작한 미플릭 프로젝트를 9월 28일 월요일에 오픈을 하면서 구현단계까지 한바퀴 돌았다.

물론 운영단계인 지금 개발해야할 것도, SR처리해야할 것도 많다.

 

처음에 php, codeigniter, gabia 클라우드에서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한달 정도 지났을 때, 인원 이탈이 생기면서 기획부분과 아키텍처 부분을 다시 설계해야 했다.

그래서 react, java, springboot로 화면까지 띄우고, DB 설계를 할려는 찰나에 Micro services 를 적용해보자는 아이디어가 생겨, AWS 클라우드 서버에 micro service로 만들어진 python 기반 샘플 소스를 띄워보고, 프론트단을 react 를 적용하기 위해 gatsby ecommerce 샘플 소스를 활용해서 적용해 보았다. 그리고 동시에 백엔드는 aws amplify 를 이용해 구성하였다.

메인페이지에 상품이 보이도록까지 개발하였을 때, 새로운 팀원이 들어오면서 nextjs로 바꾸기로 하여 다시 nextjs, aws-amplify 로 개발을 하고, 한달이 지나 오픈까지 하였당

 

이번 프로젝트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 프로젝트는 더 퀄리티있고 임팩트 있는 제품을 만들고 싶다.

Photo by Nina Strehl on Unsplash

짧은 시간안에 개발이 필요하여 워드프레스 기반으로 모임서비스를 만들었다.

 

개발서버를 따로 구축하지 못하고 atom 을 이용해서 운영서버에 ftp로 접근하여 바로 작업을 하였다.

 

각종 플러그인들 수정작업까지 하게되어 wordpress, php 에 대해 깊이 배울 수 있는 프로젝트였다.

 

다음에 이와 비슷한 서비스를 개발하게 된다면, 클라우드 서버를 활용해서 dev, test, prod 환경을 구분하고, 기획 디자인은 figma 를 활용하고, 프론트엔드는 react 나 최신 js 기술을 활용하고, 백엔드는 상황에 맞추어 개발을 하고 싶다.

Photo by Austin Distel on Unsplash

고객님이 10개월동안 해결하지 못하고 고민하였던 시스템트레이딩 문제를 짧은 시간만에 해결하였다.

Photo by xandro Vandewalle on Unsplash

2020년 1월부터 5월까지 5개월간 서울도시가스 통합정보시스템 고도화 프로젝트에 개발자로 참여하였다.

 

java, spring, egovframework, mybatis, oracle 로 backend 와 개발 및 운영환경이 되어 있었고, frontend 는 nexacro 를 활용해서 개발하였다.

 

기존 시스템이 glueframework 로 되어 있어서, glueframework 기반의 activity 로 이루어진 서비스를 egovframework 로 변환하는 작업이 살짝 번거로운 작업이었다.

Photo by Baim Hanif on Unsplash

교육기업 비르투스의 홈페이지를 카페24에 호스팅을하고 워드프레스 기반으로 만들었다.

Photo by SAIBUDEEN kp on Unsplash

의류전문회사 제이에스컴퍼니의 홈페이지를 카페24에 호스팅을 하고 워드프레스 기반으로 만들고, 네이버 구글 SEO 작업까지 하였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