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 by Hiu Yan Chelsia Choi on Unsplash

2024년 4월 부터 2025년 2월까지 카운터컬쳐컴퍼니에서 근무하며,

댄스보컬 온라인교육 사이트를 개발하였다.

 

백엔드는 strapi 와 rdb 로 구성되었고,

나는 프론트엔드를 담당하여, react, nextjs 로 개발하였다.

 

내가 직접 개발하진 않았지만 strapi 의 생산성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었고,

프론트엔드 부분은 이전 프로젝트에서 보다 디테일한 부분을 더 보완하여 개발하였다.

 

가자 큰 원칙으로는 한 파일당 200 줄이 넘어가지 않도록, 한 commit 당 50 줄이 넘어가지 않도록 노력하며 개발을 하였다.

 

atomic 디자인을 통해 atoms, molecules, organisms, templates, pages 단계로 뷰 컴포넌트를 관리했는데,

atoms 는 스타일과 props 만 담고 있고,

molecules 는 atoms 의 조합,

organisms 는 가장 지저분한 단계일 수 있지만, 간단히 각 templates 에서만 사용되는 뷰와 상태가 포함된 컴포넌트,

templates 는 page 별로 하나씩 존재하며, organisms 의 조합이며 뷰와 상태가 포함된 컴포넌트,

pages 는 데이터와 template 을 매핑 시키는 단계, server state 나 브라우저 상태를 관리하는 컴포넌트.

이렇게 구분하면 될 것 같은데, 실제로는 templates 에서 server state 를 많이 사용한 것 같다.

 

local state 는 useState 로, gloabl state 는 zustand 로, server state 는 react-query 로 관리하였다.

페이지별 custom hook 으로 local state 를 관리하여,

store 라는 디렉토리로 global state 를 관리하고,

root custom hook 으로 server state 를 관리했는데,

다음에는 하나의 hooks 디렉토리로 local, global, server state 를 구분하여 사용하여도 좋을 것 같다!

 

이번에는 zod 라는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api response 로 받은 데이터를 zod 로 타입을 체크하여, 백엔드 데이터가 달라지거나 null 이나 undefined 로 들어오면 error 가 뜨도록 의도하여 개발하니, 뭔가 타이트하게 체크하는 느낌이 들어서 좋았다.

 

프로젝트 막바지에는 새로오신 개발자분이 typescript class 를 활용을 잘해주셔서 class 도 조금 활용해볼 수 있었는데,

다음 프로젝ㅌ에서는 state 와 zod 로 관리했던 내용을 class 를 활용하여 개발해보고 싶다!

Photo by Jason Goodman on Unsplash

2023년 10월부터 2024년 4월까지 6개월 동안 채권관리프로그램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였다.

DB 는 postgresql,

백엔드는 java, spring

프론트엔드는 react, nextjs 로 구성돼어 풀스택 개발을 하였다.

기존 프로그램을 마이그레이션 하는 프로젝트였는데,

기존 DB 의 구조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앞으로 내가 더 공부하고 익숙해져야 하는 부분임을 알게 되었다.

백엔드는 워낙 잘하시는 분이 구조를 잡아주어 큰 어려움 없이 디테일한 부분을 학습해가며 개발할 수 있었고,

프론트엔드는 react query 로 server state 를 관리하는 게 마음에 들었고,

global state 는 recoil 로 관리하여, 나름 디테일한 스킬을 보완할 수 있었던 프로젝트였다.

Photo by Jason Goodman on Unsplash

 

2022년 8월 경 주식회사 틴틴 이라는 법인을 만들고, 사업자 등록까지 하였다.

핵심 이해관계자 2명과 함께 진행하였고 사이트 개발까지 되었으나,

영업, 마케팅, 운영부분에 힘쓰지 못하여,

결국 2023년 11월 6일 부로 핵심 이해관계자 1명에게 법인 대표자를 넘기고,

주식 전량을 양도하고 마무리하였다.

 

나는 어떤 일을 하더라도 주인의식을 가지고 하는 성격인데,

이번일을 통해서 내가 주체적으로 시작한 일이 아니라면,

경제적인 보상이 따라줘야 내가 제대로 일할 수 있는 사람이구나 라는 것을 알게되었다.

 

이 경험을 바탕으로 앞으로는 좀 더 확실한 기준으로 일하는 사람이 되려고 한다.

+ Recent posts